주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흘러가는 것보단 외부적인 환경요소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하기 마련인데, 요즘 계속되는 하락장으로 많은 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럼에도 자기만의 원칙을 가지고 하는 투자자는 이런 하락장에도 흔들리지 않는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매수 타이밍을 잡는 10가지 원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주가가 완만한 하락을 하면서 거래량이 증가할때
주가는 속일수 있지만 거래량은 절대 속일수가 없다. 투자자들이 매수를 하는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으므로 거래량이 증가하는 종목은 필수로 체크해야 한다.
2. 주가가 중요한 전환선을 돌파하거나 신고가를 경신하는 경우
지속적인 상승이 눈에 띄는 종목일 가능성이 크므로 자세히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3. 주가가 큰 악재에도 흔들리지 않는 경우
위기에 강한 주가, 또는 기반이 튼튼한 종목이므로 악재 속에서도 건재한 종목은 눈여겨 봐도 좋다.
4. 주당순자산(BPS)에 비해 지나치게 하락하는 경우
자산가치만 평가를 하여도 현재 주가가 기업의 가치보다 저렴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5. 분기순이익, 단기순이익과 매출액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우
이익이라고 하는것은 매출액이 증가하지 않아도 늘어날수 있는것 이므로, 비용측면을 줄여 매출액이 동시에 증가를 했는지 파악해야 한다.
6. 기관비중이 낮은데 처음으로 리포트가 나온경우
기관에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는 것을 리포트를 통해 알수있다. 조만간 기관 혹은 외국인의 매수가 이루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7. 회사 내부자들이 자기주식을 매수하는 경우
회사의 사정을 잘아는 내부자가 주식을 산다는 것은 회사가 긍정적인 상황이라는것을 짐작할수 있다.
8. 기업이 자사주를 매입하는 경우
앞에서 언급한것과 마찬가지로 회사가 긍정적인 상황이라는것을 알수있다.
9. 경쟁회사와 무한경쟁에서 승리하는 경우
경쟁속에서 지속적인 상승, 그리고 앞으로의 미래 상승가치도 예상할수 있는 부분이다.
10. 장기가 무시되었던 기업의 거래량이 느는 경우
거래량이 횡보를 하다가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를 말한다.
기술적분석 또는 차트를 100% 신뢰할수는 없지만 차트를 보지 않고 투자를 한다는 것은 좌표를 보지 않고 배를 운행하는 것과 같다고 한다. 다시말해 기술적 분석및 본인의 픽업 능력이 보다 낮은 손실 및 보다 높은 이익을 가질수 있는 방법이다.
이상으로 주식매수 타이밍을 잡는 10가지 원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식 앤 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줄이는 방법? (0) | 2022.06.28 |
---|---|
2022년 달라진 양도소득세 및 상속세 (0) | 2022.06.27 |
주식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 (1) | 2022.06.27 |
공매도란 알기 쉽게 요점만 간단히 (0) | 2022.05.30 |
주식 차트 보는 방법 간단히 핵심만 (0) | 2022.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