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비엠이 공매도 무덤이 될 조짐입니다. 공매도가 대거 몰린 가운데 주가 추가 상승에 무게가 실리며 손실 확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서입니다. 국내 증시에서 예외적으로 개인이 공매도를 이긴 사례가 될지 주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에코프로비엠의 주가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올해들어 급등한 에코프로그룹의 주가
올해 들어 2차전지 관련주의 상승세가 도드라진 가운데, 에코프로그룹의 상장사 세 곳의 주가가 급등하며 코스닥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2차전지 대장주로 불리는 에코프로비엠은 2022년 1월 셀트리온헬스케어를 제치고 코스닥 시가총액 1위에 오른 이후 자리를 굳히고 있다. 에코프로비엠은 올해만 127% 주가가 급등했다.
에코프로비엠 지분 45.58%를 보유한 모회사 에코프로 또한 올해 들어 주가가 3배 이상 급등하면서 14일 오후 2시 기준 시총 상위 2위(9조 7336억 원)에 올랐다. 2021년 에코프로에서 환경사업을 인적분할해 설립된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연초 4만 5000원이던 주가가 지난 3월 13일 종가 기준 7만 3500원까지 올랐다.
에코프로구룹의 상승이유?
에코프로 삼형제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다트 홈페이지 ‘많이 본 문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 9일 공시된 에코프로비엠의 ‘주식 등의 대량보유상황 보고서’는 지난 주말 동안 상위 5위권에 들었고, 14일에도 20위 안에 자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김병훈 에코프로 대표이사와 김명선 에코프로NH 사외이사는 각각 2만 6000주, 760주 장내매도 했다.
에코프로 삼형제의 주가 상승은 2차전지 종목의 강세에 풍부한 호재가 더해진 영향으로 보인다. 김정환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코프로비엠의 주가 상승 이유로 “삼성SDI 등 고객사의 신규 투자계획 구체화 및 장기 공급 계약 체결 기대감 상승”을 꼽고 “이익 추정치 상향의 근거는 가팔라진 삼성SDI의 전기차용 2차전지 탑재량 증가세, SK온의 올해 전지 출하량 가이던스의 반영”이라고 전했다.
에코프로 역시 유럽판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인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발표를 앞두고 14일 SK에코플랜트, 테스 등과 ‘유럽 지역 배터리 재활용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주가 상승세를 이어갔다. CRMA에는 폐배터리 재활용 의무화 조항 등이 담길 것으로 관측된다. 여기에 에코프로그룹은 에코프로가 지분 69.3%를 보유한 자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유가증권시장 상장도 준비 중이다.
에코프로그룹은 지난해 3월 2026년까지 7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상장을 공식화한 바 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2차전지 양극재 핵심소재인 전구체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2017년 에코프로와 중국 GEM이 합작해 설립했다.
에코프로비엠 공매도 상황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에코프로비엠의 공매도 잔고는 5315억원으로 연초(4868억원) 대비 9.2%(447억원) 늘었다. 그런데 같은 기간 시가총액에서 공매도 비중은 되레 2.68%(5.33%→2.65%)나 줄었다. 공매도 지속에도 주가가 급등하며 영향력이 줄어든 셈이다.
에코프로비엠의 주가는 올 들어 전날인 13일까지 120.41%(9만2100원→20만3000원)나 급등했고 시총도 배 이상(10조3767억원·9조75억원→19조3842억원) 늘었다. 이에 공매도 투자자의 손실 금액은 클 것으로 관측된다. 올해 에코프로비엠의 공매도 평균가격은 15만6170원으로 전날 종가인 20만3000원보다 23.06% 낮다. 공매도 평균가는 전체 공매도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나눈 값이다.
주가가 공매도 평균가보다 높게 오르면 공매도 투자자가 손실을 보고 반대로 주가가 공매도 평균가보다 낮아지면 이익을 얻는 것으로 풀이된다. 투자 손실 증가에도 에코프로비엠을 대상으로 한 공매도 지속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이 달에만 두 차례(7일·8일)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돼 거래에 제동이 걸렸음에도 대차 거래 잔고가 쌓여 있어서다.
에코프로비엠의 대차거래 잔고는 전날 기준 27조7737억원으로 코스닥 시장 내 차순위인 에스엠(5417억원)과 비교해 5배 이상 많다. 유가증권시장을 포함해도 대차거래 잔고가 많은 종목은 삼성전자(97조6598억원)를 제외하면 보이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장외에서 주식을 대여·상환하는 거래인 대차거래는 빌려온 주식을 장내에서 매도하는 공매도와 상호 연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해석한다. 공매도는 늘고 있으나 주가 전망은 상단이 높아지고 있다. 에코프로비엠의 주가는 이미 증권사 추정치를 16.83% 넘어선 상황이다.
에코프로비엠 주가전망
시장에서는 에코프로그룹의 네 번째 상장사이자 첫 번째 코스피 상장사가 될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기업가치 조 단위 이상인 ‘대어’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일각에서는 상장 시 기업가치를 최대 3조 원 수준으로 추산하고 있다. 에코프로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을 에코프로비엠 신규 투자에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에코프로비엠의 견고한 상승세가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상장에 힘을 실으면서 증권가가 바라보는 에코프로그룹의 전망도 밝다.
이용욱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코프로비엠에 대해 “상반기까지 부진한 실적이 예상되나, CAM5N/7의 생산이 본격화되는 하반기부터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고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전기차 수요도 강하다”고 분석했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코프로비엠을 ‘역사에 남을 코스닥 주도주’라고 평가하며 “2010년 이후 시총 비중 5%를 넘은 종목들은 6.0%~7.5% 정도 반락했는데 시총 1위 에코프로비엠은 현재 추가 상승 여력을 남겨두고 있다”고 밝혔다.
김정환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코프로비엠 (196,500원 ▼6,500 -3.20%) 목표주가를 14만원에서 25만원으로 79% 높여잡았습니다. 에코프로비엠 주가가 올 들어 127% 상승했는데 상승여력이 더 있다는 판단이다.
다만 투자자들이 유의해야 할 부분도 있다. 이동채 전 에코프로그룹 회장의 동일인 지정과 기관 및 외국인의 매도세다. 국민연금을 비롯한 연기금은 지난 2월 에코프로비엠 주식 669억 원어치를 순매도한 데 이어, 이달 들어서도 에코프로비엠 주식을 매도하고 있다. 국내 증권사들이 밝은 전망 일색인 반면 외국계 증권사는 경고의 메시지를 내놓았다는 점도 에코프로그룹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맥쿼리증권은 지난 6일 ‘에코프로비엠 주식을 팔아야 하는 3가지 이유’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매도 의견을 제시했다. 과도한 수주 기대감이 반영돼 단기간에 너무 빠르게 주가가 올랐다는 지적이다. 또 시장이 에코프로그룹의 수직계열화를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판단한다고 지적했다.
이상으로 에코프로비엠의 주가전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정보
'주식 앤 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앤에프 주가 전망 추가 수주 기대감 (1) | 2023.03.16 |
---|---|
SK하이닉스 주가전망 기다려야 될때? (0) | 2023.03.15 |
현대차 주가전망 긍정적 시그널? (0) | 2023.03.13 |
셀트리온 주가전망 다시 2년전으로 복귀? (0) | 2023.03.10 |
삼성전자 주가 전망 저가 매수 기회 그 시기는 (1) | 2022.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