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와 다를 바 없이 생활하다가 갑자기 한쪽 눈이 제대로 감기지 않거나 입 주변 등 얼굴의 특정 부위가 한 쪽으로 돌아가고 치우쳐진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고 치료해야 한다. 이는 보통 구안와사라고 하는 말초성 안면마비 증상이기 때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안와사에 대해서 알아보자.
구안와사란?
구안와사는 안면신경의 마비로 입과 눈 주변의 한쪽 근육이 영향을 받아 얼굴이 비틀어지는 질환을 말한다. 구안와사는 표정이나 눈썹 움직임 등 얼굴 전반의 운동을 주관하는 제 7번 뇌신경에 감염 등으로 염증이 생겨 뇌에서 얼굴로 전달하는 신호체계에 문제를 일으키면서 얼굴 근육을 잘 움직이지 못하게 만드는 질환이다. 연령대와 관계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걸릴 수 있으나 보통은 15세~60세 사이에서 많이 발병한다. 또한 드물기는 하지만 회복 후에도 여러 번 반복해서 재발이 될 수도 있다. 이는 가족력과 연관이 있다고 보인다. 구안와사는 크게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와 중추성 안면신경마비로 구분할 수 있다. 대부분의 구안와사는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인데,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는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벨마비와 대상포진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람세이헌트증후군으로 나눌 수 있다.
구안와사의 원인
1. 안면신경의 염증성 변화
피로나 병으로 인한 체력 및 면역력 저하
과도한 정신적 스트레스
2. 한랭자극
얼굴에 찬바람이 직접 닿거나 찬곳에서 잠을 자다가 발병하는 경우
3. 감염으로 인한 발병
세균이나 바이러스, 잇몸 염증, 또는 감기나 대상포진으로 인한 발병의 경우 특히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안면신경을 침범하여 얼굴에 심한 통증과 함께 안면이 마비되는 경우, 람세이헌트증후군(Ramsay Hunt’s Syndrome)이라 하며, 이 경우 귀 속이나 주위에 통증 및 수포를 동반합니다. 람세이헌트증후군은 후유증이 남을 가능성이 높고, 또한 예후가 불량한 편입니다.
4. 벨마비
원인불명의 특발성 안면신경마비
5. 기타
말초성 안면마비는 벨마비와 람세이헌트증후군 이 외에도 교통사고와 같은 외상으로 안면신경이 손상된 경우, 성형수술의 부작용, 종양 등 기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구안와사 전조증상
1. 귀 뒤쪽, 뼈가 돌출한 유양돌기 부위에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오는 경우가 있으나, 전조 증상 없이도 발병한다.
2. 혓바닥이 코팅된 것과 같은 느낌과 더불어 미각의 저하
3. 눈을 감고 뜨는 것이 불편할 때
4. 양치 도중 물이 한쪽 입꼬리로 새거나 이유 없이 눈물이 날 때
5. 귀 뒤쪽 통증이 나타나고, 소리가 잘 안 들리는 증상이 나타날 때 등의 증상
6. 미각의 저하
구안와사 후유증
악어눈물증후군: 안면마비(구안와사) 발생 후 이르면 2~8주, 대개 6개월 이후에 나타나는 후유증으로, 음식을 먹을 때 눈물을 흘리는 증상을 이르는 말로, 장시간 안면신경마비로 인해 침샘으로 가는 일부 신경이 눈물샘으로 가는 신경과 엉켜, 침샘과 눈물샘이 동시에 자극되는 상태이다.
연합운동: “동시움직임”이라고도 하며, 구안와사의 회복과정 중 잘못된 신경의 재지배 현상에 의해 환측으로 음식을 씹거나 할 때 눈이 같이 감기는 현상으로, 환측(마비측) 안면근육의 구축이나 경련이 동반되기도 한다.
구안와사 발병시 주의사항
1. 구안와사의 경우 다른 질환과 달리 한랭(寒冷)자극으로 발생된 경우가 많으므로 특히 찬 것을 금기해야 한다. 찬 음식이나 음료의 섭취, 찬바람 쏘이기, 찬 곳에 오래 머물기나 찬물 세수, 머리감기, 목욕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눈이 감기지 않으면 안구가 건조되거나 각막에 염증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안약을 하루 2~5번씩 눈에 주입하고, 추운 곳에 갈 경우 안대나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3. 초기 및 진행기에는 가급적 술, 담배 등을 삼가야 하며, 최대한 스트레스를 피하고 안정과 휴식을 많이 취해야 한다.
4. 치료를 미루거나 민간요법에만 의존한다면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쳐 안면이 굳어버리거나 경련이 일어나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평생 겪으실 수 있으므로, 구안와사 치료과정 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발병초기 1주일 동안의 적극적인 치료이다.
이상으로 구안와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톱 무좀 없애는 방법 이것만 알면된다 (0) | 2022.07.17 |
---|---|
우울증 증상 체크하고 극복하자 (0) | 2022.07.14 |
부정맥 증상 및 부정맥에 대해 알아야 될것들 (0) | 2022.07.09 |
폐렴 증상 및 알아야 될 모든것 (0) | 2022.07.06 |
불면증 해결하려면 이렇게 하면 된다 (0) | 2022.07.03 |
댓글